카테고리 없음

더 많은 리락쿠마를 찾다

레고오빠 2016. 8. 14. 15:24

인터넷 검색으로 더 많은 리락쿠마를 찾는 방법은 더 많은 언어로 검색하는 것이다. 아이폰을 이용하여 일본어로 리락쿠마를 검색해봤다.


1. 리락쿠마의 뜻

우선 리락쿠마의 뜻 부터 알아보자. 리락쿠마(リラックマ)는 Relax(릴랙스)의 일본발음 리락쿠스(リラックス)와 곰을 뜻하는 쿠마(くま)가 합쳐진 말이다. 그래서 초기의 영문 표기명은 Relaxuma였다. 릴랙수마? 리락쿠스마? 어떻게든 "리락쿠마"로 읽히기에는 무리였는지 2012년 쯤 해서 지금의 Rilakkuma가 공식적인 영문 표기명이 되었다. 대부분 앉아있고, 누워있고, 업드려있고, 멍때리고 있고, 뭐 먹고 있고, 그냥 세상 편해보이는 곰인형의 이름이다.


코리락쿠마(コリラックマ)는 작다는 뜻의 코(小 : コ)가 리락쿠마 앞에 붙은 작은리락쿠마라는 뜻이고 키이로이토리(キイロイトリ)는 노랗다는 뜻의 키이로이(黄色い)와 새를 뜻하는 토리(鳥), 즉 노란새이다. 간단하다.




2. 정식명칭

한글

리락쿠마

코리락쿠마

키이로이토리 

영어

Rilakkuma 

Korilakkuma 

Kiiroitori 

일본어 

リラックマ

コリラックマ

キイロイトリ


이제 이 단어들을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된다. 한글과 영어는 쉽게 검색할 수 있지만 일본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설정이 필요하다. 사실 그냥 위 단어를 긁어서 복사해다가 구글에 붙여서 검색하면 된다. 그래도 더 복잡한 방법을 한 번 알아보겠다.




3. 아이폰 일본어 설정

설정 - 일반 - 키보드 - 키보드


  

특별히 다른 언어를 설정하지 않았다면 위 그림과 같이 한국어, 영어, 이모티콘이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새로운 키보드 추가...를 눌러서 일본어를 선택하면 Kana와 Romaji 두 가지 방식이 제시된다.


Kana는 연타 방식과 드래그 방식이 있다.


연타 방식은 키보드에 보이는 아행버튼을 누르고 1초안에 다시 누르면 순차적으로 이행, 우행, 에행, 오행으로 바뀌는 형식이다. 6번째 누르면 다시 아행으로 복귀하거나 촉음, 요음 등 작은 문자(ぁ, っ, ゃ 등)가 있는 행의 경우 작은 문자가 나온 후 아행으로 복귀한다.


촉음(っ)을 입력하는 방법은 타(た)버튼을 6번 누르거나 타(た)를 세 번 눌러 つ를 만든 뒤에 "小˚버튼을 눌러서 크기를 작게 만든다. 요음이나 작은 아단(ぁぃぅぇぉ)을 입력하는 경우도 이와 같다. 탁음(ば 등)/반탁음(ぱ 등)을 입력할 때도 "小˚버튼이 쓰인다. 한 번 누르면 탁음, 두 번 누르면 반탁음이 된다. 연타방식으로 リラックマ(리락쿠마)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Kana - 연타방식




사실 연타방식은 번거롭고 느리다. 그래서 드래그 방식을 추천한다. 아행을 입력할 땐 그냥 누르면 된다. 이행은 9시, 우행은 12시, 에행은 3시, 오행은 6시 방향으로 드래그 하면 된다. 촉음, 요음, 탁음, 반탁음 입력은 "小˚버튼을 이용한다. 드래그 방식으로 입력한 リラックマ(리락쿠마)는 다음과 같다.


Kana - 드래그 방식



이것도 복잡하다면 Romaji 방식을 이용하면 된다. Romaji 방식은 일본어를 소리나는대로 영어로 입력하면 된다. 자판도 영어와 거의 같다. 촉음(っ)은 같은 자음을 두 번 누르면 먼저 누른 자음이 촉음이 되고, 응(ん)은 n을 두 번 누른다(nn)는 것만 기억하면 된다. 리락쿠마는 rirakkuma가 되겠다. 참고로 Romaji에서 작은 아단(ぁぃぅぇぉ)은 la, li, lu, le, lo이다. little의 l인가...

Romaji




4. 검색

배웠으니 써먹어보자, 구글에 リラックマ(리락쿠마), コリラックマ(코리락쿠마), キイロイトリ(키이로이토리)를 검색해보면 더 깊숙한 곳에 숨어있던 리락쿠마가 등장할 것이다.

역시 세상은 넓고 리락쿠마는 어디에든 있다.




(끝)